Freedom
자유 آزادی

2021-2022

"Freedom" has long been a concept recognized in the West, where democracy has been established for centuries. However, in Asia, the idea of individual and social freedom has only been relatively recently recognized. In South Korea, despite liberation in 1945, the country was plagued by dictatorship and military coups, and the notion of "freedom" as we know it today was only obtained through resistance and struggle in June 1987. Inspired by the history of Korea and the ongoing oppression in Central Asia, particularly in Iran, Afghanistan, and North Korea, I created the series (2021-2022). This series aims to express how basic rights, such as the freedom to travel, dream, and express oneself, are suppressed and censored due to religion or authoritarian government. The artwork features a deliberate choice of color, with the text and background blending together and making the words difficult to read, unless viewers actively investigate the piece. This is meant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ctively seeking and questioning "freedom" and the ways in which it can be suppressed.


‘자유’라는 개념은 민주 공화주의 이념을 펼친 서양에서는 오랜 과거로부터 존재했으나 아시아에서는 개인과 사회의 권리로 인식하기 시작한 것은 비교적 짧은 역사를 지니고 있다. 대한민국의 근대사를 보면 해방 이후 독재정권의 역사가 반복되었기에 1987 군부독재정권 아래에서 일어난 6월 항쟁이 그 시발점으로 ‘자유’라는 개념은 36년 전 저항과 투쟁을 통해 얻은 결과이다. <자유>(2021-2022)를 제작하게 된 계기는 새터민들과 중앙아시아에서 온 유학생들의 교제를 통해 종교나 정권에 의해 억압된 일상에 대해 직접경험을 전해 들으며 시작하게 된다. <자유>는 시리즈로 제작되었으며 배경색과 텍스트 색을 비슷하게 하여 능동적으로 보지 않으면 읽기 어렵게 하였다. 이는 자유 또한 자주적으로 찾으며 질문해야 하는 필요성을 부각하고자 한다.


<Freedom Series - 자유시리즈>, 2022, Mixed Media on Wooden Panel, 109cm x 76cm (each 27.3cm x 19cm).






Xeno

2021-2022



The COVID-19 pandemic, which began in early 2020, has exposed and amplified social issues and situations that have long been marginalized in society. The implementation of COVID policies have brought to light the causes and realities of these problems. The prefix "xeno" in Xenophobia refers to "foreign" or "external," and I aim to shed light on how the COVID policies in Korea through <Xeno> (2021-2022) have greatly restricted internationals from the information, safety, and resources. <Xeno> conveys how  internationals have been marginalized and excluded from the Korean society like transparent beings throughout the constant changes in the COVID policies. Examples of this include cases where  internationals were excluded from public mask purchases, mandatory testing that was enforced and then revoked only for certain nationals, and access restrictions to text message alert information.

2020년 초 시작된 코로나-19는 그동안 사회에서 소외된 문제와 상황들이 증폭되었고 방역 과정에서 문제의 원인과 현실이 더 분명하게 드러난다(Tactaquin, 2020).

Xenophobia(외국인 혐오)의 어두인 Xeno는 ‘외부의 것’을 뜻하며, 작가는 <Xeno>(2021-2022)를 통해 한국 사회가 펼친 방역방침이 이주민들에게는 정보, 안전, 자원 접근성의 제한을 많이 받았음을 밝히고자 한다. 공적 마스크 구매에서 이주민이 배제된 사례, 특정 외국인만을 표적으로 삼은 의무 검사 강제 시행과 철회한 사례, 문자 알림 정보에 대한 접근성 제한 등 계속 변화하고 있는 방역방책에서 이주민들이 투명인간처럼 소외되고 배제되었었음을 표현하고자 한다.


<Xeno>, 2021-2022, Mixed Media on Acrylic Panel, 100cm x 50cm.





Light, Wind, Shadow

2020




<Light, Wind, Shadow> (2020) explores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constructivism and the critical thinking of James Elkins on art education. Constructivism asserts that education is not just about filling an empty vessel, but rather the culmination of past experiences that shape our behavior and learning. However, James Elkins critiques the lack of clear art education methods. To address this issue, the field has introduced student-centered art education, specifically choice-based art education. Despite this, there remains a disconnect between experiencing the creative proces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udent versus that of the artist. The COVID-19 pandemic further exacerbated this problem. While quarantining around a pine tree farm in early 2020, I used discarded vinyl greenhouse covers as a canvas, drawing lines that captured the changing shadows of the pine tree farm. This work reminds us of the importance of active participation by learner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and roles of art educators, in conveying the experience of creating.

<빛,바람,그림자>(2020)는 프레이리의 구성주의 교육철학과 제임스 엘킨스의 미술교육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고찰한다. 구성주의 교육철학 시각의 교육은 빈 그릇을 담는 행위가 아니라 지금까지 경험한 것이 모여 우리의 행동과 배움을 결정짓는 것이며 제임스 엘킨스는 명확한 미술교육방법이 존재하지 않음을 비판한다. 이를 완충하기 위해 현장에서는 학습자 중심 교육 중 선택기반 미술교육을 도입하여 예술가의 표현과정을 배운다. 그러나 학습자의 위치에서 창작하는 과정을 예술가처럼 경험하는 것은 괴리감이 있으며 코로나-19 때문에 변화된 교육현장에 의해 이에 대한 문제가 더 야기되었다. 2020년 상반기에 격리하기 위해 머문 소나무 농장 주변에서 찾을 수 있는 재료를 활용하여 앞서 언급한 괴리감에 대해 예술가로서 교육자로서 질문한다. 버려진 비닐하우스 비닐을 캔버스 삼아 소나무 농장에서 비친 그늘이 시간과 바람에 의해 변하는 것을 선으로 담으며 창작경험을 전달하는 미술교사의 역할과 한계를 직면하며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의 중요성을 다시 상기시킨다.



<Light, Wind, Shadow no.3>, 2020, Acrylic on Vinyl and Chiffon, 112cm x 162cm.

<Light, Wind, Shadow no.1&2>, 2020, Acrylic, Oil, and Gouache on Vinyl, 132cm x 162cm.



Opportunity 기회

2021


Based on research data and interviews with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who have experienced difficulties around equity and inclusion, <Opportunity>(2021) was created. Unlike the United States and South Africa, Korea's history of discrimination is rooted in the concept of a "homogeneous" society more so than discrimination based on skin color. Unfortunately, Korean society tends to marginalize foreigners as transparent beings and a source of social problems. Moreover, the Korean media tends to focus more on foreigners who have successfully absorbed Korean culture rather than the difficulties they face in settling down in Korea. In order to express the discrimination that immigrants feel in Korean society, I used virtual space to create <Opportunity>(2021) so that it can be viewed from various angles. The artwork features the phrase "opportunity" shining brightly on one side of the space, but there are several layers of nets blocking the way. From a distance, it appears as if one can reach the opportunity, but as one gets closer, the blocking text, such as "discrimination," "prejudice," and "homogeneity," becomes more visible, highlighting the difficulties that foreigners face in Korean society. Through this artwork, I aim to raise awareness about the challenges that immigrants experience and encourage viewers to take action to promote equity and inclusion in society.

<기회>(2021)는 국내 외국인이 경험하는 어려움을 통계, 연구자료, 인터뷰를 바탕으로 구상하였다. 한국은 미국과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달리 피부색에 의한 차별의 역사보다는 ‘단일민족’이라는 관념으로부터 시작한다. 아쉽게도 한국 사회가 외국인을 투명인간으로, 정형화된 모습으로, 사회문제를 일으키는 존재로 보는 추세이며 미디어에서는 한국에 정착하며 겪는 어려움을 외면한 체 한국 문화를 성공적으로 흡수한 외국인의 모습에 더 주목 하는 것을 볼 수 있다.1 작가는 한국 사회에서 이주민이 느끼는 차별을 표현하기 위해 <기회>(2021)는 여러 방면에서 볼 수 있도록 가상공간을 활용하여 구상하였다. 공간 한쪽에는 ‘기회’라는 문구 밝게 빛나고 있으나 앞에 여러 겹의 방충망들이 가로막고 있다. 멀리서 볼 때에는 기회를 향해 갈 수 있을 것 같으나 가까이 갈수록 가로막는 텍스트 중 ‘차별’, ‘편견’, ‘단일민족’ 등이 적혀있어 외국인이 한국사회에서 겪는 어려움을 부각하게 시키고자 한다.


<Opportunity - 기회>, 2021, Digital Rendering on Blender